본문 바로가기
*.. 디카, 컴, 상식

[스크랩] 야경의 촬영

by 오토(auto) 2009. 2. 8.

 

32. 야경의 촬영


“ 고감도 필름이라면 야경도 찍을 수 있다 ”

◇ 야간조명에 의한 건물의 야경 ◇
건물은 야간조명을 받으면 그 인상이 환상처럼 바뀌는 일이 많다. 왜냐하면 그 건물만이 뚜렷하게 부각되어 보일 뿐만 아니라, 인공조명의 색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주광용(daylight type) 필름을 사용하여 백열등으로 조명된 것을 찍으면 따뜻하고, 어느 정도 황금색을 띠고 있는 것 같이 보인다. 반대로 형광등이나 수은등으로 조명되는 것은 어쩐지 침울한 녹색을 띤다. 광원에 칼라필터를 끼우면 더욱 현혹적(眩惑的)인 효과가 난다.

 

***** KEY POINTS *****


        1) 인공조명을 받고 있는 야경의 대부분은 고감도 필름을 사용하면, 카메라를 손에 들고 촬영할 수 있을 정도로 밝다.

            그러나, 조리개를 열어도 1/30초에서 1초의 노출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삼각대가 반드시 필요하다.
        2) 노출계가 정확하다고 해도 야경의 경우에는 특히, 조금씩 노출을 바꾸어 가며 여러 장 찍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노출계를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조명이 밝은 거리를 찍을 때에는 ISO 160 필름이라면 1/30초로 F2.8 노출에서 찍기

            시작하는 것이 좋다.
        4) AE카메라로 매뉴얼 기구가 달려 있지 않은 경우에는 필름감도를 정상적인 세트의 절반으로 한 것과 2배로 한 것을

           촬영해 둔다.

◇ 네온사인을 찍는다 ◇


네온사인은 독특하고 매우 사진적인 광원이다. 네온사인의 관은 집중적으로 강한 빛을 내는 것이 아니고 길다란 관 전체가 부드러운 빛을 발산한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광원에 비하여 훨씬 간단하게 촬영할 수 있다. 거기에다가 네온사인은 대체로 원색조의 조합이 생동감을 준다. 화면을 잘 구성하면 네온사인의 색과 형태의 가장 재미있는 장면만을 가려 찍을 수 있다. 망원렌즈를 이용하거나 아주 접근하여 찍으면 다채롭고 추상적인 모양이 생긴다.

 

***** KEY POINTS *****


         1) 어둠에 싸인 거리의 네온사인의 빛을 찾는다. 밝은 거리에 있는 네온사인에 비하면 훨씬 드라마틱하다.
         2) 고감도 필름을 사용하면 대부분의 네온사인은 카메라를 손에 들고 찍어도 충분하다.
         3) 네온사인의 관이 적은 것을 멀리에서 촬영할 경우에는 삼각대를 사용하여 타임노출을 짧게 한다. 카메라의 노출계를

             참고로 하여 조리개를 1스텝씩 바꾸어가며 촬영하는 것이 안전하다.
         4) ISO 160 또는 200의 필름이라면 기본적인 노출은 1/60초, F4이다.
         5) 매뉴얼 기구가 없는 AE카메라의 경우에는 필름의 ISO 감도눈금을 사용하는 필름의 절반과 2배로 세트한 것을 각각

             찍어 둔다.

***** ADVICE *****
네가 칼라필름을 사용하면 야경의 빛은 어떤 종류이든 신경 쓸 필요는 없지만 리버설 필름으로 찍는 경우에는 데이라이트 타입으로 하는가, 텅스텐 타입으로 하는가에 따라 색채가 변한다. 형광등이라면 데이라이트 타입을, 백색광이라면 텅스텐타입을 사용하면 자연에 가까운 빛의 색깔을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야경에는 여러 가지의 빛이 섞여 있기 때문에 과연 어느 필름이 표현의도에 적합한 것인지를 판단하기 어려운 때가 많다. 양쪽타입으로 촬영하든지, 테스트 촬영이 가능하다면 미리 찍어 볼 것을 권하고 싶다.

 

출처 : 아름다운 5060
글쓴이 : 흙으로 원글보기
메모 :

'*.. 디카, 컴,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토샾  (0) 2009.02.26
야생화 찍는법  (0) 2009.02.23
[스크랩] 아웃포커스의 활용  (0) 2009.02.08
[스크랩] 화이트 밸런스  (0) 2009.02.08
[스크랩] 패닝 테크닉  (0) 2009.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