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을 치를 수 없는 경우에는 매가 날아 들어간 마을에 가서 이삼일 매를 놀아 주어야 한다고 한다.
그런데 주인에게 돌려주지 않고 시치미를 떼어 자기 것으로 삼는 사람도 있다.
알고도 모른 채 하는 행동을 ‘시치미 뗀다’고 하는데 여기에서 유래한 말이다.
- 한쪽이 먼저 입이 찢어지게 하품을 합니다.

- 옆의사람도 따라서 하품합니다.
그러나, 살짝 입을 가리고 합니다.
하품은 전염성이 있나 봅니다.

- 뒷따라 하품한사람이 시치미를 뚝 잡아 뗍니다
하품 따라 안한척 말입니다.

- 먼저 하품했던 사람이 그 시치미를 모른척 해 줍니다.

- 저쪽 먼곳의 두여인은 도란도란 무슨얘기들을 나누나봅니다.

- 가만히 보니 무료한시간을 얘기나누며 보내는듯합니다.

- 혹, 남편들의 흉을 보는지도 모를일입니다.
서로 쳐다보는 눈길이 얘기대상자가 마땅치 안다는 눈초리인듯합니다.

- 서로 다른곳을 향한눈촛점과
악다문 입들이 다함께 각오한듯 심상찮습니다.
오늘저녁은 삼식이 남편들이 단단히 각오 해야 할 듯 합니다.ㅜㅜ

'♬.My 사진작품실.♬ > --◈인 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버들의 휴식 (0) | 2018.05.13 |
---|---|
양귀비 밭 누비는 아이들 (0) | 2018.05.13 |
셔니폰카~백양산 철쭉 (0) | 2018.05.03 |
참꽃(진달래)밭의 여인 (0) | 2018.04.26 |
소금산 출렁대는 출렁다리위에서... (0) | 2018.04.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