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칭과 지칭
사람이 부를 때 쓰는 부름말. 호칭어에는 두 갈래가 있어서, 엄격하게 구별하면 사람을 가리켜서 하는 말인 명호(名號)를 칭호(稱號), 또는 지칭어(指稱語)라 하고, 사람을 부를 때 쓰는 부름말을 호칭(呼稱), 또는호칭어(號稱語)이라고 한다.
이 두 가지는 따로 쓰이기도 하고 겸해서 쓰이기도 하며, 칭호만 있고 호칭으로는 쓰이지 않는 것도 있다. 현대국어의 칭호와 호칭은 순수한 우리 고유어와 예로부터 써오던 한자어가 다함께 쓰이고 있으며, 친척과 인척 사이에서 쓰이는 것과 일반인 사이에서 쓰이는 것이 따로 발달되어 있고, 생시(生時와 사후(死後)에 따라서 달리 쓰이기도 한다.
친척 관계 |
- 부자간(父子間) : 아버지와 아들
- 부녀간(父女間) : 아버지와 딸
- 모자간(母子間) : 어머니와 아들
- 모녀간(母女間) : 어머니와 딸
- 구부간(舅婦間) : 시아버지와 며느리
- 고부간(姑婦間) : 시어머니와 며느리
- 옹서간(翁壻間) : 장인, 장모와 사위
- 조손간(祖孫間) : 조부모와 손자, 녀
- 형제간(兄弟間) : 남자동기끼리
- 자매간(姉妹間) : 여자동기끼리
- 남매간(男妹間) : ① 남자동기와 여자동기 ② 시누이와 올케 ③ 처남과 매부
- 수숙간(嫂叔間) : 남편의 형제와 형제의 아내
- 동서간(同壻間) : 형제의 아내끼리, 자매의 남편끼리
- 숙질간(叔姪間) : 아버지의 형제자매와 형제자매의 자녀
- 종형제(從兄弟), 자매(姉妹), 남매간(男妹間) : 4촌끼리
- 당종숙질간(堂從叔姪間) : 아버지의 종형제자매와 종형제자매의 자녀
- 재종당숙질간(再從堂叔姪間) : 아버지의 6촌 형제자매와 6촌 형제자매의 자녀
- 삼종형제, 자매, 남매 : 8촌끼리
- 구생간(舅甥間) : ①외삼촌과 생질 ②장인과 사위
- 내외종간(內外從間) : 외숙의 자녀와 고모의 자녀
- 이숙질간(姨叔姪間) : 이모와 이질
- 이종간(姨從間) : 자매의 자녀끼리
- 고숙질간(姑叔姪間) : 고모와 친정조카
- 외종(外從) : 외숙의 자녀
- 고내종(姑內從) : 고모의 자녀
- 이종(姨從) : 이모의 자녀
- 처질(妻姪) : 아내의 친정조카
- 생질(甥姪) : 남자가 자매의 자녀를
- 姨姪(이질) : 여자가 자매의 자녀를
- 妻姨姪(처이질) : 아내의 이질
친척에 대한 호칭
<< 자기에 대한 호칭 >>
- 저, 제 : 웃어른이나 여러 사람에게 말할 때
- 나 : 같은 또래나 아랫사람에게 말할 때.
- 우리, 저희 : 자기 쪽을 남에게 말할 때
- 상대가 부르는 칭호 : 자기를 아랫사람에게 말할 때는 상대가 나를 부르는 호칭으로 말한다.
(손자에게 할애비, 할미, 자녀에게 애비, 에미, 제자에게 선생님)
<< 부모에 대한 호칭>>
- 아버지, 어머니 : 자기의 부모를 직접 부르고 지칭하거나 남에게 말할 때
- 아버님, 어머님 : 남편의 부모를 직접 부르고 지칭하거나 남에게 말할 때, 남에게 그 부모를
말할 때
- 애비, 에미 : 부모의 어른에게 자기의 부모를 말할 때와 부모가 자녀에게 자기를 지칭할 때
및 조부모가 손자녀에게 그 부모를 말할 때
- 아빠, 엄마 : 말 배우는 아이가 자기 부모를 부르거나 말할 때,<장성(長成)해서 쓸 말 아님>
- 가친(家親), 자친(慈親) : 자기의 부모를 남에게 말할 때의 한문식 지칭
- 춘부장(春府丈), 자당(慈堂)님 : 남에게 그의 부모를 한문식으로 말할 때
- 부친(父親), 모친(母親) : 남에게 다른 사람의 부모를 말할 때
- 현고(顯考), 현비(顯妣) : 축문이나 지방에 죽은 부모를 쓸 때
- 선친(先親), 선고(先考).선비(先妣) : 남에게 자기의 죽은 부모를 말할 때
- 부주(父主), 자주(慈主) : 편지에 부모를 쓸 때의 한문식
- 선고장(先考丈), 대부인(大夫人) : 남에게 그 죽은 부모를 한문식으로 말할 때
- 아버지 : 부친(父親), 가친(家親) → 나를 낳아주신 어른
- 어머니 : 모친(母親), 자친(慈親) → 나를 낳아 길러주신 어른
- 할아버지 : 조부(祖父) → 아버지의 아버지
- 할머니 : 조모(祖母) → 아버지의 어머니
- 증조할아버지 : 증조부(曾祖父) → 아버지의 할아버지
- 증조할머니 : 증조모(曾祖母) → 아버지의 할머니
- 고조할아버지 : 고조부(高祖父) → 할아버지의 할아버지
- 고조할머니 : 고조모(高祖母) → 할아버지의 할머니
※. 고조이상(高祖以上)은 오대조(五代祖)로 따져 올림
<< 아들에 대한 호칭>>
- 얘, 너, 이름 : 직접 부를 때와 자칭할 때
- 자식 : 남에게 자기의 아들을 말할 때
- 애비 : 자녀를 둔 아들을 그 아내나 자녀에게 말할 때
- 아드님, 자제, 영식(令息) : 남에게 그 아들을 말할 때
- 망자(亡子) : 지방이나 축문에 자기의 죽은 아들을 쓸 때
- 네 남편 : 며느리에게 그 남편인 아들을 말할 때
<< 딸에 대한 호칭>>
- 얘, 너, 이름 : 시집가지 않은 딸을 직접 부르거나 지칭할 때
- O실.O실 : 시집간 딸을 남편의 성을 붙여서 부르거나 말한다.
- 딸, 여식 : 자기의 딸을 남에게 말할 때
- 따님.영애(令愛) : 남에게 그 딸을 말할 때
- 에미 : 자녀를 둔 딸을 그 남편이나 자녀에게 말할 때
<< 며느리에 대한 호칭>>
- 얘, 며느리, 너 : 며느리를 직접 부르거나 지칭할 때
- 네댁, 네 아내 : 아들에게 그 아내인 며느리를 말할 때
- 에미 : 자녀를 둔 며느리를 직접 부르거나 그 자녀에 말할 때
- 며느님, 자부님 : 남에게 그 며느리를 말할 때<며느리 , 자부(子婦) → 아들의 처(妻)>
<< 사위에 대한 호칭>>
- O서방, 너, 이름 : 장인이 사위를 직접 부르거나 지칭할 때
- O서방, 자네 : 장모가 사위를 직접 부르거나 지칭할 때
- 네 남편, O서방 : 딸에게 그 남편인 사위를 말할 때
- 사위님, 서랑(壻郞) : 남에게 그 사위를 말할 때
<< 부부간의 호칭>>
- 여보, 당신 : 부부가 서로 부르거나 지칭할 때
- 사랑(客室) : 시댁의 어른이나 동서에게 자기의 남편을 말할 때
- 제댁(宅) : 자기 집이나 처가의 웃 대 어른에게 자기의 아내를 말할 때
- O서방 : 친정의 어른에게 자기의 남편을 말할 때
- 안(內室) : 자기 집이나 처가 같은 세대 어른 또는 제수, 처남댁에게 자기 아내를 말할 때
- 안사람, 집사람, 아내 : 남에게 자기의 아내를 말할 때
- 주인, 바깥양반, 남편 : 남에게 자기의 남편은 말할 때
- 주인어른, 바깥어른, 부군(夫君) : 남에게 그 남편을 말할 때
- 안 어른, 부인, 영부인(令夫人) : 남에게 그 아내를 말할 때
※. 부모(父母)앞에서 아들이 아내를 말할 때는 저의 처(妻) 또는 지에미라 하고 아내가
남편을 들어 말 할 때는 지애비라 한다.
<< 형제간의 호칭>>
- 언니 : 미혼의 동생이 형을 부를 때
- 형님 : 기혼의 동생이 형을 부를 때
- 형 : 집안의 어른에게 형을 말할 때
- 백씨(伯氏), 중씨(仲氏), 사형(舍兄) : 자기의 형을 남에게 말할 때
- 백씨장, 중씨장, 존형장, 자네의 형님 : 남에게 그 형을 말할 때
- 얘, 이름, 너 : 미혼이나 10년이상 연하인 동생을 부를 때
- 동생, 자네, 이름 : 기혼이나 10년 이내 연하인 동생을 부를 때
- 아우 : 동생의 배우자나 남에게 자기의 동생을 말할 때
- 아우인, 제씨 : 남에게 그 동생을 말할 때
<< 자매간의 호칭>>
- 언니 : 여동생이 여형을 부를 때
- 얘, 너, 이름 : 언니가 여동생을 부를 때
- O실, O집 : 시집간 여동생을 부를 때(남편의 성을 위에 붙인다.)
- 형 : 집안의 어른에게 여형을 말할 때
- OO에미 : 집안의 어른에게 자녀를 둔 여동생을 말할 때
<< 남매간의 호칭>>
- 오빠 : 미혼 여동생이 남자형을 부를 때
- 오라버님 : 기혼여동생이 남자형을 부를 때
- 오라비 : 여동생이 집안 어른에게 남자형을 말할 때
- 누님,누나 : 손위 누이를 부를 때
- 누이 : 손아래 누이를 부를 때
- 얘, 너, 이름: 손위 누이가 미혼인 남동생을 부를 때와 오라비가 미혼인 누이동생을 부를 때
- 동생, 자네, OO아버지 : 손위 누나가 기혼인 남동생을 부를 때
- O실, O집 : 오라비가 기혼인 누이동생을 부를 때
<< 형제자매의 배우자 호칭>>
- 아주머니, 형수님 : 시동생이 형의 아내를 부를 때
- 아주미, 아지미, 형수 : 집안 어른에게 형수를 말할 때
- 형수씨 : 남에게 자기의 형수를 말할 때
- 제수씨, 수씨 : 동생의 아내를 직접 부를 때
- 제수 : 집안 어른에게 제수를 말할 때
- 제수씨 : 남에게 자기의 제수를 말할 때
- 언니 : 시누이가 오라비의 아내를 부를 때
- 올케, 새댁, 자네 : 시누이가 남동생의 아내를 부를 때
- OO댁 : 집안 어른에게 남동생의 아내를 말할 때
- 매부(妹夫) : 누이동생의 남편을 남에게 말할 때
- 형부(兄夫) : 여동생이 여형(언니)을 남편을 부를 때와 말할 때
- O서방 : 여형(언니)이 여동생의 남편을 부를 때
<< 기타 친척간의 호칭>>
- 할아버지, 할머니 : 조부모를 직접 부르거나 남에게 말할 때
- 할아버님, 할머님 : 남에게 그 조부모를 말할 때와 남편의 조부모를 부를 때
- 대부(大父), 대모(大母) : 자기의 직계존속과 8촌이 넘는 할아버지와 할머니를 부를 때
- 큰아버지, 어머니, 몇째 아버지, 어머니, 작은아버지, 어머니 : 아버지의 형제와 그 배우자를
부르거나 말할 때, 맏이는 큰, 막내는 작은, 기타 중간은 몇째를 붙인다.
(이것은 형제자매나 차례가 있는 친족의 칭호에 공통으로 쓰인다)
- 아저씨, 아주머니 : 아버지와 4촌 이상인 아버지세대의 어른과 그 배우자를 부를 때
- 큰아버지 : 백부(伯父), 중백부(仲伯父)
- 큰어머니 : 백모(伯母), 중백모(仲伯母)
- 작은아버지 : 숙부(叔父), 계부(季父), 삼촌(三寸)
- 작은어머니 : 숙모(叔母), 말째숙모
- 당숙 : 당숙(堂叔), 종숙(從叔) → 아버지의 사촌의 형제
- 당숙모 : 당숙모(堂叔母), 종숙모(從叔母) → 아버지의 사촌의 부인
- 재당숙 : 재당숙(再堂叔), 재종숙(再從叔) → 아버지와 육촌형제
- 재당숙모 : 재당숙모(再堂叔母), 재종숙모(再從叔母) → 아버지의 육촌부인
- 종형제 : 사촌형제(四寸兄弟) → 아버지의 조카
- 종수 : 사촌형수(四寸兄嫂), 제수(弟嫂) → 아버지의 조카며느리
- 재종형제 : 육촌형제(六寸兄弟) → 당숙의 아들
- 재종수 : 육촌형수(六寸兄嫂), 제수(弟嫂) → 당숙의 며느리
- 조카 : 질(姪) → 형, 아우의 아들
- 질부 : 질부(姪婦) → 조카며느리
- 당질 : 당질(堂姪) → 사촌의 아들
- 당질부 : 당질부(堂姪婦) → 사촌의 며느리
- 증손 : 종손(從孫) → 조카의 아들
- 증손부 : 종손부(從孫婦) → 조카의 며느리
- 재증손 : 재종손(再從孫) → 육촌의 손자
시가족에 대한 칭호
- 아버님, 어머님 : 남편의 부모를 부르거나 말할 때
- 아주버님 : 남편의 형을 부르거나 가족간에 말할 때
- 시숙(媤叔) : 남편의 형을 남에게 말할 때
- 형님 : 남편의 형수나 누님을 부를 때
- 도련님 : 남편의 장가 안간 동생을 부를 때
- 서방님 : 남에게 자기남편의 동생을 말할 때
- 동서, 자네 : 시동생의 아내를 부를 때
- 작은아씨 : 시집가지 않은 손아래 시누이를 부를 때와 가족간에 말할 때
- O서방댁 : 시집간 손아래 시누이를 부를 때와 가족간에 말할 때
- 시누이 : 남편의 자매를 남에게 말할 때
처가족에 대한 칭호 |
- 장인어른, 장모님 : 아내의 부모를 부를 때
- 빙장, 빙모 : 아내의 부모를 남에게 말할 때
- 처남댁, OO어머님 : 처남댁을 부를 때
- 처형, OO어머님 : 처형을 부를 때
- 처제, OO어머님 : 처제를 부를 때
- 처남, 자네 : 손아래 처남을 부를 때
- 기타 처가족의 호칭은 사회적인 호칭으로 한다. 아내의 직계존속과 부인들을 제외한
- 자는 사회적 사람이기 때문이다.
- 장인 : 장인(丈人), 빙장 → 아내의 아버지
- 장모 : 장모(丈母), 빙모 → 아내의 어머니
- 처백부 : 처백부(妻伯父) → 아내의 큰아버지
- 처백모 : 처백모(妻伯母) → 아내의 큰어머니
- 처숙부 : 처숙부(妻叔父) → 아내의 작은아버지
- 처숙모 : 처숙모(妻叔母) → 아내의 작은어머니
- 처남 : 처남(妻男) → 아내의 남자형제
- 처남댁 : 처남(妻男)의 아내 → 처남의 부인
- 처질 : 처(妻)조카 → 처남의 아들
사돈에 대한 칭호 |
- 사장(査丈)어른 : 윗세대 사돈남녀에 대한 호칭이다. 윗세대 사돈이란 며느리의 친정조부모,
딸의 시조부모, 형수나 재수의 친정 부모, 자매의 시부모 같이 자기보다 위세대인 사돈을
말한다.
- 사돈(査頓) : 같은 세대 동성(同姓)끼리의 사돈으로서 연령이 10년 이내 연상까지를 말한다.
어떤 여자의 친정과 시댁의 아버지 끼리나 어머니 끼리를 서로를 말할 때
- 사돈어른 : 같은 세대의 이성(異性)간의 사돈이나 동성이라도 자기보다 10년 이상 연상일 때
말한다. 여자의 친정어머니가 시아버지를 ,친정아버지가 시어머니를, 시아버지가 친정
어머니를, 시어머니가 친정아버지를 말할 때.
- 사돈양반 : 아랫세대의 기혼 이성인 사돈을 말할 때.
시어머니가 며느리의 오라비, 시아버지가 며느리의 올케나 형, 친정아버지가
딸의 시누이나 동서, 친정어머니가 딸의 시숙이나 시동생을 말할 때.
- 사돈도령, 사돈총각 : 미혼 남자인 사돈을 말할 때
- 사돈처녀, 사돈아가씨 : 미혼여성인 사돈을 말할 때
- 사돈아가씨, 사돈아기 : 어린 사돈에 대한 호칭
- 사돈 : 바깥사돈(아들과 며느리의 양가아버지의 호칭)
- 사부인 : 안 사돈(아들과 며느리의 어머니의 호칭)
- 사장 : 사돈의 아버지, 또는 안사돈이 바깥사돈에 대한 존칭
- 노사장 : 사돈의 아버지 또는 할아버지
- 노사부인 : 안사돈의 어머니 또는 할머니
- 사돈도령 : 안사돈이 사돈의 아들에 대한 호칭
- 사돈색시 : 사돈의 미혼한 딸, 사돈 내 아씨의 약칭
사교간의 호칭
- 선생 : 은사(恩師),또는 덕이 높은 어른에 대한 존칭
- 사모 : 은사(恩師)의 부인, 나이 많고 덕이 높은 어른의 부인에도 혹(或) 쓰이나 함부로
쓰는 것은 불가(不可)함
- 어르신네 : 존장, 아버지의 친구
- 노형(老兄) : 연령이 5세이상 10세 내외(內外)되는 동지(同志)의 호칭
- 소제(掃除) : 연령이 5세내지 10세 내외(內外)되는 작은 사람의 자기(自己) 호칭
- 평교(平交) : 5세 미만의 연상약(年相若)한 처지
- 군(君) : 군(君), 그대 → 아들 연배되는 연하자
- 양(孃) : 처녀, 양(孃), 규수(閨秀) → 미혼여자(未婚女子)의 호칭
- 여사 : 유부녀(有夫女) → 기혼여성(旣婚女性)
- 소사(召史) : 소사(召史), 미망인(未亡人) -----→ 과부의 호칭.